티스토리 뷰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점점 날씨가 더워지는데 여름 무더위가 지속될 때는 온열 질환을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점을 꼭 아셔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는데 둘은 대체 무슨 차이인지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
무더운 날씨에 뉴스에서 자주 듣게 되는 용어가 온열질환인데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말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습니다. 일사병과 열사병 둘 다 무더위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나타나는 증상이긴 하지만 원인과 나타나는 증상이 다릅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보면 일사병은 열피로, 열탈진 등으로도 불리는데 무더운 날씨에 바깥에서 일하면서 땀을 너무 많이 흘려서 몸속 수분과 염분의 균형이 깨지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열사병은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장시간 일하거나 더운 장소에서 오랫동안 있어서 우리 몸의 체온조절 기능이 고장 나면서 몸속의 열을 제대로 방출하지 못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일사병
- 더운 공기와 햇볕으로 인해 몸이 체온 조절을 실패가 원인
-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금방 호전된다.
- 현기증, 두통, 무기력증, 피로
열사병
- 냉방시설이 갖춰지지 않는 덥고 습한 곳에서도 탈수증세가 오면 열사병 발생
- 나이가 많거나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발병률이 높으며 사망까지 이를 수 있음
- 근육통, 저혈압, 실신, 정신이상, 탈진, 구토, 설사, 심한 맥박상승
일사병과 열사병의 증상
일사병과 열사병 둘다 기운이 없이 무기력해지고, 속이 메슥거리며, 식욕부진,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일사병은 체온이 정상보다는 높지만 41도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땀을 심하게 흘리는 특징이 있고 열사병은 체온조절 기능이 고장 난 상태라 체온이 대부분 40도 이상 고온인데도 땀이 안 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열사병은 심한 경우 시력장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고 의식이 흐려지면서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방치할 경우 중추신경계에 영구적인 손상을 줄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열사병 증상을 보이면 바로 병원으로 가거나 119를 불러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일사병과 열사병 대처방법
일사병과 열사병 증상이 보이면, 바로 119를 부르고, 환자를 햇볕을 피해 시원한 곳으로 옮겨야 합니다. 그리고 통풍이 잘 되도록 옷을 풀고 물수건 등으로 몸을 닦아주면서 체온을 내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을 주는 건 도움이 되지만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는 기도가 막혀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스스로 목으로 넘길 수 없는 정도라면 주지 않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여름철 심한 더위에는 무리한 야외 활동은 삼가고 노약자일수록 특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